본문 바로가기
여행 맛집 레저

탁류 촬영지 몇부작 등장인물

by neostop0305 2025. 10. 3.
반응형

탁류 촬영지 몇부작 등장인물

드라마 탁류는 2025년 9월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먼저 공개된 후, 같은 달 26일부터 디즈니플러스를 통해 본격 방영을 시작한 작품입니다. 사극 특유의 무게감과 더불어 액션, 모험, 멜로를 결합한 정통 사극 드라마로 평가받으며 많은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제작은 앤피오엔터테인먼트가 맡았으며, 연출에는 추창민 감독, 극본에는 천성일 작가가 참여해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특히 천성일 작가는 사서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두고, 드라마적 상상력으로 역사를 왜곡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작품의 진정성을 강조했습니다.

탁류가 시청자에게 더욱 특별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드라마 속 배경을 위해 전국 각지의 전통 건축물과 역사적인 장소, 세트장이 활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안동호 해상 세트장, 문경새재 세트장, 함양 일두고택, 청주 상당산성 등은 드라마의 시대감을 충실히 재현해냈습니다. 또한 9부작이라는 짧은 호흡으로 전개되는 만큼, 매 회차마다 밀도 있는 사건과 인물 간의 갈등이 농축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탁류의 촬영지, 총 몇부작 구성, 그리고 주요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탁류 촬영지

탁류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는 실제 역사적 장소를 활용해 사실적인 공간감을 구현한 점입니다. 드라마의 서사가 전개되는 배경은 전국 방방곡곡에 흩어져 있으며, 장소 자체가 드라마의 정서를 형성하는 중요한 장치로 작용합니다. 주요 촬영지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안동호 해상 촬영 세트장

  • 위치: 경북 안동호 일대
  • 특징: 나루터와 강변 장면을 촬영한 핵심 장소.
    드라마의 시작부터 비중 있게 등장하는 나루터 장면은 이곳에서 촬영되었습니다. 마포나루와 같은 당시 교역 중심지의 분위기를 사실적으로 살리기 위해 강 위에 세트가 마련되었고, 왈패들이 상인들을 쥐어짜는 장면, 인물들의 갈등이 폭발하는 장면들이 주로 이곳에서 담겼습니다. 과거에도 불멸의 이순신, 황진이, 환혼, 구르미 그린 달빛 등 다수의 사극 명작이 촬영된 곳입니다.

문경새재 가은세트장

  • 주소: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1037
  • 활용 장면: 무과 시험장, 종사관 부임 장면, 시율과 정천의 재회 장면
    문경새재 세트장은 사극의 대표적인 촬영지 중 하나입니다. 탁류에서는 장시율과 정천이 운명적으로 다시 만나는 중요한 장면이 여기서 촬영되었으며, 시청자들의 눈시울을 적셨습니다. 또한 정천이 무과 시험을 보는 장면도 이곳에서 제작되며, 드라마의 긴장감 있는 전개를 뒷받침했습니다.

안동 이상루

  • 주소: 경북 안동시 서후면 풍산태사로 3193-6
  • 활용 장면: 포도청 종사관 이돌개가 하수인과 바둑을 두는 장소
    이상루는 ‘서리를 밟는다’는 뜻을 담고 있는 전통 건축물입니다. 극 중 최귀화 배우가 맡은 이돌개가 악역의 카리스마를 드러내는 장면이 이곳에서 촬영되었으며, 전통 한옥의 분위기가 드라마의 긴장감을 높였습니다.

함양 일두고택

  • 주소: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길 50-13
  • 활용 장면: 최은(신예은)의 집
    조선 후기 상단을 이끄는 강단 있는 여주인공 최은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드라마 속 여성 상인의 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실제 고택의 구조와 풍광은 당시 조선의 주거 문화를 충실히 재현했습니다.

청주 상당산성

  • 주소: 충북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 일대
  • 특징: 장대한 성곽 장면 연출
    청주 상당산성은 웅장한 성벽이 특징으로, 드라마 속에서는 마치 만리장성을 연상케 하는 장면들이 이곳에서 제작되었습니다. 권력 다툼과 전투 장면을 담아내는 데 이상적인 장소였습니다.

문경 김룡사

  • 주소: 경북 문경시 산북면 김용길 372
  • 활용 장면: 수련 장면, 포도청 관리들의 모임
    문경 김룡사는 극 중 인물들이 의지를 다지는 장면에서 활용되며, 고즈넉한 사찰 분위기가 캐릭터들의 결단을 강조합니다.

설매재 자연휴양림

  • 주소: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로 510
  • 특징: 숲과 산세가 어우러진 장면
    탁류 속의 긴박한 추격전과 자연 배경 장면은 이곳에서 촬영되었습니다. 영화 관상의 촬영지이기도 해 사극 팬들에게는 친숙한 장소입니다.

용인 대장금파크와 민속촌

사극의 전형적인 시장과 민속 장면은 대장금파크와 용인 민속촌에서 촬영되었습니다. 각종 전통 의상과 소품이 조화를 이루며 조선 시대의 일상을 생생히 구현했습니다.

남양주 운당 세트장

  • 주소: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 855번길 138
    남양주 종합촬영소 전통 한옥 세트장으로, 여러 인물이 집결해 사건을 논의하는 중요한 장면이 촬영된 곳입니다.

이 외에도 영주 선비촌, 부여 서동요 세트장, 담양 존현각 세트장, 고모산성, 이천 무대마당 스튜디오 등 전국 각지의 촬영지가 활용되며, 드라마의 무게감을 더했습니다.


탁류 몇부작

탁류는 총 9부작으로 제작되었습니다. OTT 플랫폼 특성상 지상파 사극보다 짧은 구성으로 제작되었지만, 밀도 높은 전개와 강렬한 캐릭터 구성이 돋보입니다.

  • 1화: 마포나루 왈패 집단과 주인공들의 등장, 부패한 세상을 배경으로 서사가 본격 시작됩니다.
  • 2화: 시율은 생계를 위해 갈등을 겪고, 최은은 상단 운영을 시작하며, 정천은 포도청 관리로서 부정부패에 맞섭니다.
  • 3화 이후: 시율과 정천의 숨겨진 과거가 드러나며 긴장감이 최고조에 이릅니다. 두 사람은 과거의 인연으로 인해 형제 같은 관계였으나, 생존과 정의 사이에서 갈라서게 됩니다.

9부작이라는 짧은 호흡 속에서도 액션, 멜로, 정치적 갈등이 응축돼 있어 “짧고 굵은 정통 사극”이라는 평을 받습니다.


탁류 등장인물

탁류의 서사는 다양한 인물들의 갈등과 성장을 통해 전개됩니다. 주요 인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탁류 등장인물

  • 장시율(로운): 과거를 숨긴 채 마포나루 왈패 무리 속에서 살아가는 남자. 어린 시절 친구 정천과의 인연이 있으나, 생존을 위해 어두운 길을 걷게 된 비극적인 인물.
  • 최은(신예은): 조선 최고의 상단을 운영하는 여성 상인. 뛰어난 상재와 정의로운 성품으로 주변을 이끄는 카리스마적 존재.
  • 정천(박서함): 청렴한 포도청 관리로 정의 실현을 꿈꾸는 인물. 부정부패에 맞서 싸우며, 시율과의 과거 인연으로 갈등을 겪습니다.
  • 무덕(박지환): 교활하고 야망이 큰 인물로 권력을 쥐기 위해 어떤 수단도 가리지 않습니다.
  • 이돌개(최귀화): 포도청 종사관으로 극 중 갈등을 촉발하는 인물. 악역 연기로 긴장감을 높입니다.
  • 강행수(전배수): 상단의 실무 책임자로, 최은의 곁에서 상단 운영을 보좌합니다.
  • 최정엽(유성주): 최은의 아버지이자 상단을 지탱하는 기둥 같은 존재.
  • 왈패 무리: 왕해(김동원), 덕개(최영우), 오대감(이재용), 왈왈이(박정표), 말복이(안승균) 등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해 긴박한 서사를 완성합니다.
  • 최대일(강형석): 최은의 오빠로, 가문과 상단의 갈등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아역 인물: 어린 시율(이주원), 어린 정천(최예찬)이 등장해 과거 이야기에 설득력을 더합니다.

이외에도 포도청 관리와 상단 식솔, 마포 상인들, 왈패 무리들이 등장해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다채롭게 보여줍니다.


결론

드라마 탁류는 9부작이라는 짧은 호흡 속에서 조선 후기의 혼란한 시대상을 촘촘히 담아낸 작품입니다. 전국의 대표적인 촬영지를 활용해 사실적인 배경을 구현했고, 로운, 신예은, 박서함 등 젊은 배우들과 박지환, 최귀화 같은 중견 배우들의 열연이 드라마의 무게감을 더했습니다.

특히 안동호, 문경새재, 청주 상당산성, 함양 일두고택 등 촬영지는 단순한 배경을 넘어 드라마의 정서를 형성하고 인물들의 운명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공간으로 작용했습니다. 탁류는 단순히 과거를 재현하는 사극이 아니라, 인간 본성과 권력의 본질, 정의와 생존의 갈림길을 현대적으로 되묻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